명의대여 했는데 세금문제가 없나요 ? 명의 대여는 심각한 증여 문제를 초래할수 있습니다. 매우 주의를 하셔야 합니다.
명의신탁 증여의제 내용
① 권리의 이전이나 그 행사에 등기등이 필요한 재산(토지와 건물은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의 실제소유자와 명의자가 다른 경우에는 「국세기본법」 제14조에도 불구하고 그 명의자로 등기등을 한 날(그 재산이 명의개서를 하여야 하는 재산인 경우에는 소유권취득일이 속하는 해의 다음 해 말일의 다음 날을 말한다)에 그 재산의 가액(그 재산이 명의개서를 하여야 하는 재산인 경우에는 소유권취득일을 기준으로 평가한 가액을 말한다)을 실제소유자가 명의자에게 증여한 것으로 본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2018.12.31 개정)
구분 | 증여취득시기 | 증여평가일 |
명의자로 등기등을 한 날 | 등기등을 한 날 | 등기등을 한 날 |
명의개서를 하여야 하는 재산인 경우 | 소유권취득일이 속하는 해의 다음 해 말일의 다음 날 | 소유권취득일을 기준으로 평가한 가액 |
1. 조세 회피의 목적 없이 타인의 명의로 재산의 등기등을 하거나 소유권을 취득한 실제소유자 명의로 명의개서를 하지 아니한 경우(2010.01.01 개정)
2. 삭제(2015.12.15)
3.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신탁재산인 사실의 등기등을 한 경우
4. 비거주자가 법정대리인 또는 재산관리인의 명의로 등기등을 한 경우
명의 신탁시 조세회피 목적있다고 추정
③ 타인의 명의로 재산의 등기등을 한 경우 및 실제소유자 명의로 명의개서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조세 회피 목적이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다만, 실제소유자 명의로 명의개서를 하지 아니한 경우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조세 회피 목적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지 아니한다.(2015.12.15 개정)
1. 매매로 소유권을 취득한 경우로서 종전 소유자가 양도소득 과세표준신고 또는 「증권거래세법」 제10조에 따른 신고와 함께 소유권 변경 내용을 신고하는 경우(2015.12.15 신설)
2. 상속으로 소유권을 취득한 경우로서 상속인이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신고와 함께 해당 재산을 상속세 과세가액에 포함하여 신고한 경우. 다만, 상속세 과세표준과 세액을 결정 또는 경정할 것을 미리 알고 수정신고하거나 기한 후 신고를 하는 경우는 제외한다.(2015.12.15 신설)
주주명부가 작성되지 않은 경우 무엇으로 명의개서 여부를 판정하나 ?
④ 제1항을 적용할 때 주주명부 또는 사원명부가 작성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법인세법」 제109조 제1항 및 제119조에 따라 납세지 관할세무서장에게 제출한 주주등에 관한 서류 및 주식등변동상황명세서에 의하여 명의개서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증여일은 증여세 또는 양도소득세 등의 과세표준신고서에 기재된 소유권이전일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날로 한다.(2019.12.31 후단신설)
“증여세 또는 양도소득세 등의 과세표준신고서에 기재된 소유권이전일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날”이란 다음 각 호의 순서에 따라 정한 날을 말한다.(2020.02.11 신설)
1. 증여세 또는 양도소득세 등의 과세표준신고서에 기재된 소유권이전일(2020.02.11 신설)
2. 주식등변동상황명세서에 기재된 거래일(2020.02.11 신설)
⑤ 삭제(2015.12.15)
조세회피에서 어떤조세의 회피인가 ?
⑥ 이 조에서 “조세”란 「국세기본법」 제2조 제1호 및 제7호에 규정된 국세 및 지방세와 「관세법」에 규정된 관세를 말한다.(2017.12.19 개정)
상속세가 궁금하시다고요 ? 증여세가 궁금하시다고요 ? 상속 증여세 미리 알아 보러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