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임대소득 과세 대상 및 주택수 계산

주택임대소득 과세 대상 및 주택수 계산

주택임대소득에 대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 주택임대소득 과세 대상
  • 주택임대소득 비과세 대상
  • 주택임대소득 비과세 판정 시 주택수 계산

주택임대소득 과세 비과세 대상

보유주택수 과세대상 해당 과세대상이 아닌 경우
1주택
  • 기준시가 9억원 초과 월세수입
  • 국외주택 월세수입

23년부터는 12억원 초과

  • 기준시가 9억원 이하 주택의 월세수입
  • 모든 보증금 전세금

23년부터는 12억원 초과

2주택
  • 모든 월세수입
  • 모든 보증금 전세금
3주택 이상
  • 모든 월세수입
  • 비소형주택 3채 이상 보유 & 보증금 합계 3억원 초과
  • 소형주택의 보증금 전세금
  • 비소형주택 3채 미만 보유
  • 비소형주택 보증금 합계 3억원 이하

• 소형주택: 주거전용면적이 40㎡ 이하 & 기준시가 2억원 이하

주택임대소득 비과세 대상

1개의 주택을 소유한 경우, 기준시가 12억원 이하의 주택 임대소득은 비과세입니다. 다만, 2022년까지는 기준시가 9억원을 초과하는 주택이 비과세 대상이었습니다.

주거용 오피스텔은 과세 대상이며, 사업을 위한 주택은 제외됩니다.

비과세 판단 시 주택수 계산

  • 다가구주택은 1개의 주택으로 보되, 구분등기된 경우 각각을 1개의 주택으로 계산합니다.
  • 공동소유 주택은 지분이 가장 큰 사람의 소유로 계산합니다.
  • 임차 또는 전세받은 주택을 전대하거나 전전세하는 경우, 임차인의 주택으로 계산합니다.

부부공동소유주택 임대소득을 누구의 소유로 해야 할까?

본인의 다른 소득이 많을 경우 소득세 부담이 증가할 수 있으며, 소득월액보험료가 부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소득이 없는 배우자의 경우 소득세는 적게 나오지만, 건강보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무엇이 유리할지는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택임대소득 이미지

💡 상속세 절세와 셀프 신고, 이렇게 도전해보세요!

상속세 절세를 원하신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해 전문가 보고서를 확인해보세요! 📈


👉 절세 보고서 보기

상속세를 셀프 신고하고 싶다면 셀프 신고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


👉 셀프 신고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