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1) 1세대1주택자의 보유세 5년간 예시(2020년~2024년)

수년간의 집값상승으로 인하여 공시가액이 급등했을 뿐 아니라, 공정시장가액비율 상승 그리고 세율인상까지 겹치면서 2021년도 부터는 보유세액이 크게 증가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지만 상황에 따라 산출과정이 상이하다보니 과연 어느정도의 규모인지 가늠하기가 어렵습니다.

이에, 당신의세무사에서는 3차례의 포스트로  3년~5년 기간동안의 세액을 케이스별로 시뮬레이션 해보고자 합니다.

21년 이후의 공시지가가 고정된 것으로 간주하여 산출되었으며, 세부담 상한에 의한 계산으로 납세기간에 따라 2024년이후까지도 세액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Case1) 2020년 공시가 6억을 초과한 후, 2021년 공시가액이 9억을 초과하여 종부세대상이 된 1세대1주택자

◈ 조건

 재산세비고  종부세비고
1세대1주택  공제액9억, 세부담상한 150%적용
공시가6억초과  표준세율
 세부담상한130%
지역자원시설세제외
세액공제해당없음  보유기간,연령공제제외

◈ 입력값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공시지가       692,000,000     1,182,000,000     1,182,000,000     1,182,000,000     1,182,000,000

◈ 재산세(지방세)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시가표준액(공시지가)       692,000,000     1,182,000,000     1,182,000,000     1,182,000,000     1,182,000,000
 * 공정시장가액비율 60% 60% 60% 60% 60%
 = 과세표준       415,200,000       709,200,000       709,200,000       709,200,000       709,200,000
 * 재산세율 0.4% 0.40% 0.40% 0.40% 0.40%
  = 당해년 산출세액          1,030,800          2,206,800          2,206,800          2,206,800          2,206,800
 vs 세부담상한 산출세액          1,340,040          1,742,052          2,264,668          2,868,840
 = 납부할 재산세          1,030,800          1,340,040          1,742,052          2,206,800          2,206,800
  + 도시지역분(0.14%)             581,280             992,880             992,880             992,880             992,880
  + 지방교육세(재산세*20%)             206,160             268,008             348,410             441,360             441,360
  = 총 납부액          1,818,240          2,600,928          3,083,342          3,641,040          3,641,040

◈ 종합부동산세(국세)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공시가액       692,000,000     1,182,000,000     1,182,000,000     1,182,000,000     1,182,000,000
 – 공제금액       900,000,000       900,000,000       900,000,000       900,000,000       900,000,000
 * 공정시장가액비율 90% 95% 100% 100% 100%
  = 종부세과세표준       267,900,000       282,000,000       282,000,000       282,000,000
 * 세율 0.5% 0.6% 0.6% 0.6% 0.6%
 – 누진공제                      –                      –                      –                      –                      –
 = 종합부동산세                      –          1,607,400          1,692,000          1,692,000          1,692,000
 – 종부대상주택재산세액                      –             390,426             534,267             676,800             676,800
 = 종합부동산세액                      –          1,216,974          1,157,733          1,015,200          1,015,200
 – 연령별공제                      –                      –                      –                      –                      –
 – 보유기간별공제                      –                      –                      –                      –                      –
  = 당해산출 종부세                      –          1,216,974          1,157,733          1,015,200          1,015,200
    vs 세부담상한액             206,160             577,248          1,272,150          2,626,200
 = 납부할 종부세                      –             206,160             577,248          1,015,200          1,015,200
 + 농어촌특별세                      –              41,232             115,450             203,040             203,040
  = 총납부액                      –          1,258,206          1,273,182          1,218,240          1,218,240
(전년대비) 101% 96% 100%

 

*종부세 세부담상한액 계산용

재산세+종부세          1,030,800          1,546,200          2,319,300          3,222,000          3,222,000
(전년대비) 150% 150% 139% 100%

◈ 재산세 + 종합부동산세

납세자 납부총액

         1,818,240

         3,859,134

         4,356,525

         4,859,280

         4,859,280

(전년대비)

212%

113%

112%

100%

 

재산세의 경우에는 2021년 공시가가 급등하면서 산출세액이 2배이상 증가했으나, 세부담 상한으로 총 납부액이 43%가량 (재산세는 30%상한이나, 도시지역분은 과세표준기준으로산출하여 30%이상 증가)증가했으며, 공시지가를 고정했음에도  계속적으로 30%상한이 적용되어 2023년에는 결국 두배의 재산세를 부담하게 됩니다. 

종합부동산세의 경우에는 2022년 이후로 증가요인이 없으면서, 재산세가 증가되어 해당부분만큼 세액공제효과가 발생하여 총 납부액은 약간 감소하는 구간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납세자가 부담해야하는 총액은 2021년에 2.1배에 달하며, 다른 증가요인이 없음에도 이후 2023년까지 10%정도 계속 증가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