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 및 증여

주택을 2인 이상이 공유로 취득하는 경우 취득세율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나요 ?

주택을 취득하는 경우 취득가격이 6억원이하의 경우 1% 세율이 적용되고, 6억초과 9억원이하의 1%~3%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그리고 9억 초과주택은 3%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그런데 만약 8억짜리 주택을 공유로 취득하는 경우 세율은 어떻게 적용될까요 ?   예로  부부가 공동으로 취득하는 경우    각각 4억 *1% 이하의 세율이 적용될까요 ? 아니면 각각  4억 * 1% ~3%의 세율이 적용될까요 ? 

별도세대로부터 상속받은 주택이 1+1조합원입주권으로 전환된 경우 상속주택 특례여부

🏡 별도 세대에서 상속받은 주택이 "1+1 조합원입주권"으로 전환된다면, 일반 주택 양도시 상속주택 특례는 적용 안됩니다."1+1 조합원입주권"이 신축 주택으로 완공 시, 어떤 주택을 먼저 팔때 상속주택 특례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주목! ✅ 특례 적용 시, 선순위 상속주택은 정해진 순위나 납세자의 선택에 따라 판정됩니다.

기초연금대상자 안내

🧓 기초연금 대상자는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국내 거주자 중 소득 기준에 해당하는 분들입니다.
💰 2023년 기준, 단독가구는 2,020,000원, 부부가구는 3,232,000원 이하 소득인정액을 가진 분들이 대상입니다.
🌟 월별로 2023년 기초연금은 323,180원이 지급됩니다

노인기초연금 받기 위한 소득인정액 계산

🌟 소득인정액 산정방식 🌟
1️⃣ 소득인정액은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으로 결정됩니다.
2️⃣ 소득평가액에는 근로소득과 기타소득(사업, 재산, 공적이전, 무료임차 등)이 포함됩니다.
3️⃣ 무료임차소득은 자녀 소유의 고가 주택에 거주할 때 적용되며, 그 기준에 따라 소득이 산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