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 및 증여

상속세의 연대납부의무

안녕하세요. 오늘은 상속세의 연대납부의무에 대해 간단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상속인은 상속재산 중 각자가 받았거나 받을 재산을 한도로 연대하여 상속세를 납부할 의무를 집니다. 이게 무슨 말일까요? 법 조문에 있는 문구이다 보니 쉽게 와 닿지가 않는데요.  가능한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저희가 보통…

피상속인의 거주자 여부에 따른 상속세

안녕하세요. 오늘은 피상속인(돌아가신 분)의 거주자 여부에 따른 상속세 취급에 있어서의 차이점에 대해 말씀드릴까 합니다.   피상속인이 상속개시일 현재 거주자 또는 비거주자인지 여부에 따라 상속세 과세대상은 다음과 같이 차이가 있습니다. 피상속인 상속세 과세대상 범위 거  주  자 상속개시일 현재 피상속인 소유의…

상속세에 있어서 몇가지 용어의 정의

법률을 공부할 때에는 먼저 그 법률의 제정 목적과 그 법률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의 정의를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상속세및증여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중요한 몇가지 용어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상속 ‘상속’이란 ‘민법 제5편에 따른 상속’을 말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민법에서는 제5편에서 상속에 대한…

상속세 준비서류

상속세 신고 준비서류

상속세는 피상속인(돌아가신 분)의 모든 재산에 대해서 과세되고, 피상속인이 부담하고 있는 채무가 있다면 이는 상속재산에서 공제를 해 주므로, 피상속인의 재산과 채무를 빠짐없이 체크하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가족 빚 대신 갚아줄 때의 문제점

가족이 빚을 대신 갚아 준다면 세법상 아무런 문제가 없을까?   실제로 보면 재산이 반대급부 없이 이전되면 증여세나 상속세의 대상이 되고 반대급부가 있다면 양도세의 대상이됩니다. 그렇다면 어떠한세법에 영향을 받을까요? 우선 반대급부(대가)가 없으니 증여세나 상속세이 대상이 되고 피상속인처럼 사인을 원인으로 하지 않으므로…

10년이내 증여 계산시 합산과세와 납부세액공제의 관계

증여재산 공제액을 활용하여 비과세로 자녀에게 증여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면, 10년 이내 증여합산과세를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납부세액공제라는 제도가 있는데, 증여금액을 10년마다 합산하듯이 납부한 세금도 10년 이내에 합산과세한 경우 다음 산식을 기준으로 납부세액을 공제하게 됩니다.(상속세및증여세법 제58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