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받은 후 5년 이내 양도하는 주택의 양도소득세 과세방법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받은 후 5년 이내 양도하는 주택에 대해서는 이월과세가 적용되는 것이나 해당 주택이 1세대1주택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다시 양도소득세 부당행위계산부인 규정이 적용됩니다.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받은 후 5년 이내 양도하는 주택에 대해서는 이월과세가 적용되는 것이나 해당 주택이 1세대1주택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다시 양도소득세 부당행위계산부인 규정이 적용됩니다.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개정에 따른 임대주택 세제지원 보완조치 20.8.7 □ 지난 ’20.8.4.(화)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일부개정 법률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 (주요내용) 단기민간임대주택 및 아파트 장기일반매입임대주택 유형 폐지, 폐지 유형의 자진등록말소 허용, 최소임대기간 경과시 자동등록말소 주택 구분 유형별…
조정지역에서 조정지역으로 이사가는 경우 일시적 2주택 비과세 요건
[ 양도의 정의 소득세법 88조 ] 부동산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양도소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그런데 양도란 무엇일까요 ? “양도”란 자산에 대한 등기 또는 등록과 관계없이 매도・교환・ 법인에 대한 현물출자등을 통하여 그 자산을 유상으로 사실상 이전하는 것을 말합니다. 부담부증여의 채무액에 해당하는 부분 역시…
양도시 준비서류
장기보유특별공제 소득세법 95조 1. 양도소득금액은 양도가액에서 필요경비을 공제하고 그 금액에서 장기보유특별공제를 공제합니다. [양도소득금액 = 양도가액 – 필요경비 – 장기보유특별공제 ] 수년간의 상승분을 한해에 모두 과세 함으로서 과도하게 누진되는 것을 막기 위함입니다. 2. 공제대상 : 토지, 건물으로서 보유기간이 3년이상인것 (미등기자산…
국내에 1주택을 소유한 1세대가 종전주택을 양도하기 전에 신규주택을 취득 ( 자기가 건설하여 취득한 경우 포함) 함으로써 일시적으로 2주택이 된 경우 종전주택을 취득한 날로부터 1년이상이 지난 후 신규주택을 취득하고 그 신규주택을 취득한 날로부터 3년이내에 종전의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1세대 1주택 비과세를 적용합니다.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8년) 또는 10년을 계속하여 임대사업자등록을 하고 , 그 기간동안 통산하여 8년 또는 10년이상 임대한 경우,
다음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8년이상 임대한 경우 장기보유특별공제를 50% 적용하며, 10년 이상 계속 임대후 양도하는 경우 70%를 적용합니다.
관계기관 합동*으로 자금조달계획서, 실거래 자료 등을 토대로 편법증여·자금출처 의심사례, 허위 계약신고, 업·다운계약 등을 함께 점검
*(참여기관 : 총32개) 국토부·감정원, 행안부, 국세청, 금융위·금감원, 서울시, 서울시내 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