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상속으로 주택취득시 취득세 감면[재외국민]

재외국민의 주택 취득과 관련된 취득세 부과 처분이 취소된 판결에 대해 다룹니다. 판결에 따르면 재외국민이 세대별 주민등록표에 등재되어 있더라도, 지방세법 제15조 제1항 제2호 가목에 따른 취득세 특례세율 적용을 위해 1가구 1주택을 판단할 때 세대원은 1가구에서 제외되어야 한다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따라서 이 사건 주택 취득은 취득세 특례세율 적용 대상에 해당한다고 판결되었습니다.

도시지역분 재산세

도시지역분 재산세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특정 도시지역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이며, 이는 2011년부터 재산세에 합산하여 과세되게 변화되었다. 과세방법은 재산세와 도시지역분을 합산하여 납세의무자에게 고지하되, 특별시에서는 구분하여 고지

2주택자의 주택임대업의 소득금액 계산

2주택자의 임대소득의 총수입금액은 월세만 해당됩니다. 2천만원이하인 경우 분리과세를 신청할수 있습니다. 2천만원이 초과하는 경우 다른소득과 합산하여 종합과세 합니다. 분리과세시 총수입금액의 50~60% 경비를 인정받고, 200만원 혹은 400만원의 소득공제를 받습니다.

2 주택 중 1주택을 자녀한테 부담부증여를 하면 세금이 엄~~청 적어요?[ 일반증여 vs 부담부증여 ]

부담부증여는 채무승계조건으로 증여를 하는 것입니다.    부동산가액을 쪼개서  일부는 부모가 양도세로, 일부는 자녀가 증여세를 냄으로서 소득 분산 효과가 있는 거죠. 이것을 적절히 조합하면 엄~~청 절세효과를 얻을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