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눈에 보는 주택 재산세
주택에 대한 과세대상과 세율 그리고 실제소유자와 다른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될까
주택에 대한 과세대상과 세율 그리고 실제소유자와 다른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될까
주택분 종합부동산세에서 공제되는 재산세액의 계산
1. 주택임대사업자에 대한 세제혜택 세목 구분 주 요 요 건 및 혜 택 종합 부동산세 임대주택 합산배제 (종부령§3) <요건> 임대요건 : 8년(10년) 이상 기준시가 6억원(수도권외 3억원) 이하 임대료 증액 제한 준수 ⇒ 종합부동산세 합산배제 양도 소득세 거주주택 비과세 (소득법§155)…
규제지역 (투기과열지구와 조정대상지역) 현황 [2023. 01.05] 서울시 4개구 (강남, 서초, 송파, 용산)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을 모두 해제 해제일 지정해제지역 2023.01.05 서울 종로구, 중구,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양천구, 강서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강동구…
취득세 과세시 세대 기준 글 : 2020.11.26 수정 : 2022.12.22 30세 미만 부모와 같은 세대별 주민등록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30세 미만의 자녀로서 주택 취득일이 속하는 달의 직전 12개월 동안 발생한 소득으로서 행정안전부장관이 정하는 소득이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을 12개월로…
생애 최초 취득자에 대한 취득세 감면
주택의 취득세 주택 유상취득시 세율 요약 개인이 취득하는 경우 1 주택을 취득하는 경우 주택 가액에 따라 1%~ 3% 조정 지역에서 취득 비 조정 지역에서 취득 2 주택을 취득하는 경우 8% 1%~3% 3 주택을 취득하는 경우 12% 8% 4 주택 이상을…
지방세법 개정안 주요내용 (행안위 의결 20.7.28.) 구분 주요 개정사항 다주택자·법인 취득세율 강화 개 정 안 개인 1주택 주택 가액에 따라 1~3% 조정* 비 조정 2주택 8% 1~3% 3주택 12% 8% 4주택 이상 12% 12% 법 인 12% ※ 단,…
2020년 보완6.17대책의 보완으로 (개인) ‘3주택 이상 및 조정대상지역 2주택’에 대해 과세표준 구간별로 1.2%∼6.0% 세율 적용
(법인) 다주택 보유 법인에 대해 중과 최고세율인 6% 적용. 양도세는 단기 양도차익 환수) 2년 미만 단기 보유 주택에 대한 양도 소득세율 인상(1년 미만 40 → 70%, 2년 미만 기본세율 →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