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얼마?

Case2) 1주택자(1세대2주택)의 보유세 5년간 예시(2020년~2024년)

Case2) 2020년 공시가 6억을 초과한 후, 2021년 공시가액이 9억을 초과하여 종부세대상이 된 1주택자(1세대2주택) ◈ 조건  재산세  종부세 1주택(1세대2주택자)  공제액6억  세부담상한 150%적용  세액공제해당없음-보유기간,연령공제제외 공시가6억초과  표준세율  세부담상한130% 지역자원시설세제외 ◈ 입력값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공시지가       692,000,000     1,182,000,000     1,182,000,000…

Case1) 1세대1주택자의 보유세 5년간 예시(2020년~2024년)

수년간의 집값상승으로 인하여 공시가액이 급등했을 뿐 아니라, 공정시장가액비율 상승 그리고 세율인상까지 겹치면서 2021년도 부터는 보유세액이 크게 증가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지만 상황에 따라 산출과정이 상이하다보니 과연 어느정도의 규모인지 가늠하기가 어렵습니다. 이에, 당신의세무사에서는 3차례의 포스트로  3년~5년 기간동안의 세액을 케이스별로 시뮬레이션 해보고자…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의 비교

부동산을 보유하는 것만으로도 내야 하는 세금인 보유세의 대표가 되는 세금이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입니다. 납세자는 1차로 부동산 소재지 관할 시군구에서 부과된 재산세를 납부하고, 일정 요건을 갖출 경우 2차로 주소지 관할세무서에서 부과된 종합부동산세를 납부하게 되어 있습니다. 두 세금을 구분할 수 있도록 다음 표에…